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봄, 여름철 E형 간염 주의보

봄, 여름철 E형 간염 주의보

급성 바이러스 간염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는 매우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도,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E형 간염 바이러스는 A형, B형, C형 등 다른 간염 바이러스에 비해 덜 알려져 있는 편 이라고 합니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매년 2천만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이런 E형 바이러스에 감염 되는데, 이 중 16.5%는 증상을 동반한 급성 간염으로 이어졌으며, 2015년 기준 44,000명이 사망 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역시, 2020년 191명, 2021년 494명, 2022년 528명으로 집계 됐으며, 기온이 오르기 시작하는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5월에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돼 있습니다. 

 

E형 간염의 주요 전파 경로

바이러스에 오염된 동물의 덜 익힌 담즙, 간 또는 최근에 와인 안주로 인기가 있는 하몽이나 살라미와 같은 육가공 식품, 고기, 조개류 등을 덜 익히거나 익히지 않은 상태로 직접 섭취 하거나, 기구 등 매개물을 통한 교차 감염이 주요 전파 경로 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소의 생간이나 육회 같은 날고기 음식과, 어패류 등을 생으로 먹는 경우가 많아 그 감염 위험이 훨씬 더 크기에, 

 

기온이 오르면서 나들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봄 , 여름철에 특히 주의를 기울이셔야 하겠습니다. 

 

 

봄, 여름철 E형 간염 주의보
봄, 여름철 E형 간염 주의보

 

E형 간염의 증상

이러한 E형간염에 걸리게 되면, 보통 15~64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칩니다. 

 

잠복기가 지나면, 발열, 구토, 복통, 황달, 관절통, 피로감, 식욕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이 심해지면 후유증이 발생 하거나, 만성 간염 및 간경변증으로 진행 될 수도 있고, 환자의 1% 정도에서는 간 이식이 필요할 정도의 중증질환인 급성 간부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관리가 필요 합니다. 

 

특히, 이러한 증상이 있을 때 민간요법이나 한약재등을 전문가의 처방없이 임의로 복용하다가 간에 무리를 주고 상태를 악화 시키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반드시 병원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을 통하여야 할 것입니다. 

 

봄, 여름철 E형 간염 주의보
봄, 여름철 E형 간염 주의보

 

E형 간염 예방법

아직 E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 개발 돼 있지 않기 때문에, 관련 전문의들은

 

  • 음식은 꼭 고온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익히는 조리법을 통해 섭취 할것
  • 약수 또는 계곡물을 직접 음용 하지 않기 (끓여서 음용할것)
  • 조리도구 등 조리 환경에 대한 철저한 위생관리

등 일반적인 예방법을 권장 하고 있습니다. 

 

여름철은 특히 오염 및 부패 된 음식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 등 소화기계 질환이 빈번한 시기 이므로 꼭 E형 간염 바이러스 예방을 위해서 뿐 아니라 다른 위생관련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도 주의가 필요 하겠습니다. 

 

올 여름은 특히 기온이 높을 것으로 예보 되고 있는 바, 평소의 여름철 보다 특히 더 위생에 신경 쓰셔서 건강한 여름 나시기 바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