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관련 정보

에셋파킹? 부동산 급등의 원인?

 

최근 한국은행이 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하면서,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 금리 하락에도 영향을 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국내 사정 뿐 아니라, 불안한 미 연준의 금리 정책과 여전히 지속 되고 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 그리고 실리콘밸리 은행의 파산역시 투자 심리를 위축 시키고 있습니다. 

 

국내외의 사정이 불안 할 수록, 자산가들은 그들의 자산을 보다 더 안전한 곳에 보관 하려고 노력 할 수 밖에 없는데요,

 

오늘은,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국내에 소개 된 개념인 [에셋파킹]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셋파킹?

 

2018년 경 부터 본격적으로 회자되기 시작한 신조어입니다. 

 

말 그대로, 자산을 뜻하는 에셋(ASSET)과 자동차를 안전한 곳에 주차, 보관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파킹(Parking)이 결합 된 신조어로, 자산을 안전한 곳에 보관한 다는 의미 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부동산 업계에서 처음 통용되기 시작 했는데, 부동산업계 쪽의 개념에서 봤을 땐,

 

정치적 또는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개발도상국의 부호들이 자국보다 안전한 선진국에 자금을 보관하는 것

이란 의미로 통용 되고 있습니다. 

 

에셋파킹이 다시 뜨는 이유

 

 

 에셋파킹이 요즘 다시 이슈로 떠오르는 이유는 전 세계적인 부동산 가격 급등 때문인데요, 대표적으로는 최근 몇년간  캐나다의 벤쿠버에서 에셋파킹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캐나다 정부에서는 2021년 부터 일부 자치단체(브리티시 컬럼비아주, 온타리오 주)에서 기존에 실시하고 있던 [외국인의 부동산 취득에 대한 중과세 제도]를 연방정부 차원에서 국가정책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혀 화재가 된 바 있습니다. 

 

중국 경제가 급성장 하면서 중국의 부유층들이 자국에 투자하는 대신, 자산 도피처나 투자처로 캐나다를 선택, 주택을 사들이면서 캐나다의 주택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인데요, 

 

벤쿠버 부동산 위원회에 따른면, 벤쿠버의 단독주택 평균가격이 2000년 말  36만5000 캐나다달러에서 2010년 100만 캐나다 달러, 2016년에 180만 캐나다 달러를 기록하며 최근 16년사이에 5배 가량이나 폭등 했습니다. 

 

 2016년 당시 중국인들이 캐나다에 구입한 주택 금액은 약 127억 캐나다 달러에 달하는데, 원화로 환산하면 , 약 11조원 수준의 어마어마한 금액 입니다

 

파킹형 ETF(상장지수 펀드)를 잡아라

 

최근 파산한 실리콘 밸리은행 사태가 그 여진을 계속하고 있는 가운데, 그로 인한 증시 불안은 불확실성이 큰 고위험 고금리 상품 보다는,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바라는 개인 투자자들이 [파킹형 ETF]에 그 눈들을 돌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산운용업계에서도 다양한 단기금리형 ETF를 내놓는 등 상품 경쟁도 그 열기를 더해 가고 있습니다. 

 

상품명 / 순 자산총액(4월4일기준) 운용사 (이미지클릭 시 상품사이트이동) 상품 내용
TIGER CD금리투자 KIS ETF

4조 6944억원
 단기금리인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 금리(3.59%)를 따르는 국내 최초 금리형ETF로, 은행예금과 달리 쉽게 현금화가 가능해 은행 통장을 대체하는 파킹형 ETF로 주목 받고 있음.
KODEX KOFR금리 액티브 ETF

3조 3435억원
한국 무위험 지표금리(KOFR)만큼의 이자수익을 매일 얻을수 있다. 
4월 11일 기준 KOFR 금리는 3.313%로, 예금과 달리 조기에 찾아도 별도로 부과되는 수수료가 없어 투자 대기자금을 넣어두는 파킹 통장으로 활용되고 있음

클릭 시 이동!

  투자자가 신용리스크 없이 얻을 수 있는 이론 상 최소 수익률을 의미 합니다. 대출과 채권, 파생거래등 실거래 기반의 금융계약의 손익과 가격등을 결정하는 기준 금리로, 한국 예탹결제원에서 산출기관을 맡아 공시 하고 있습니다. 

 

위 두 상품 외에도, 후발주자인 한화자산운용과 NH아문디자산 도 지난달 KOFR 기준의 ETF를 개발, [ARIRANG KOFR금리 ETF], [NH-Amundi HANARO KOFR금리 액티브ETF] 을 출시, 각각 158억과 100억원 가량의 설정액을 기록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의 에셋파킹 현상

 국내외 자산가들은 또한 대한민국의 강남권 고가 아파트와 오피스텔 상품을 에셋 파킹의 한 종목으로 구매하는 추세 입니다. 

 

부동산 하락세인 요즘에도, 압구정 현대아파트, 반포 아크로 리버파크, 한남 더 힐등 강남권 고가 아파트가 신고가 경신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2017년 외국인 토지법이 폐지되고, 부동산 거래신고 등의 법률이 개정 되면서 사실상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취득에 큰 제한이 없는 상황이며, 이는 몇년전 제주도에 중국인들의 투자 열풍을 불러 일으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불안한 국제정세에 어느때보다 자국의 이익과 안전을 위한 정책과 판단이 중요해 지는 요즘 입니다. 외환 투자라는 빛에 가려져, 국내자본 잠식이라는 어두움을 보지 못하는 일이 없기를 바라며 포스팅 마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