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개발을 위해 삼성전자와 협력 하기로 했다고 밝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세계 주요 국가들이 CBDC 개발 경쟁에 나섰고, 또 나서고 있는 상황이라 더욱 적극적인 협업을 위해 업무 협약을 체결한 건데요,
삼성전자는 한국은행이 지난해 진행한 [CBDC 모의실험연구] 의 2단계 사업에 참여한 바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특히 오프라인 결제에 대해 CBDC를 활용하는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 중에 있다고 합니다.
CBDC가 뭐야?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를 의미 합니다.
우리나라의 원화나 미국 달러화가 국가의 공식 화폐(법정 화폐)이지만, 실제 종이돈이나 동전 없이 디지털 화폐로 발행 하는 형태 입니다.
결국 CBDC를 발행 한다는건, 우리나라로 치면 한국은행이, 미국에선 연방준비제도(Fed) 가 마치 암호화폐 같은 가상자산을 만든다는 의미 입니다.
CBDC는 블록체인 같은 첨단 기술이 적용된다는 점은 암호화폐와 유사하지만, 가치가 정해져 있어서 비트코인처럼 시세변동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은행이 필요 없게 되나?
CBDC가 적용 되면, 기본적으로 시중 은행의 역할은 많이 사라지게 됩니다.
보통 결제를 할때는 돈을 주고 받을 때, 지금은 항상 은행계좌를 통하게 됩니다. 하지만 CBDC로 거래 하게 되면, 이런 절차가 필요 없게 됩니다.
보통의 암호화폐 처럼, 언제든 서로의 '전자지갑'을 통해 CBDC를 주고 받을 수 있고, 또 암호화폐를 보관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안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은행 같은 중재자나 관리주체가 없이도 안전하게 운영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뭐가 달라지나?
정부가 국민에게 지원금을 주거나 우리가 정부에 세금을 낼 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저 전자지갑에서 전자지갑으로 CBDC를 보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그만큼 시간과 비용도 줄어 들게 됩니다.
또한 그만큼 중앙은행은 시중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을 쓰기에 훨씬 편해지고, 탈세나 불법 거래를 단속하기도 용이해 질 수 있겠습니다.
지갑 없는 사회
CBDC의 송금과 이를 통한 실제 결제 등은 삼성전자 모바일 기기에 탐재된 보안 칩셋 내에서 이뤄질 예정입니다.
삼성전자와 한국은행은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과 워치등을 활용해 오프라인 결제 시 우려 되는 보안 위협을 최소화 하고,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재난상황에서도 안정적인 결제를 지원 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미 현물 통화 대신 삼성페이, 애플페이와 같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보편화 돼 가고 있는 현실 입니다.
이에 더해 국가적으로 지갑없는 삶을 연구 하고 있는 터,
이른바 [지갑없는 사회]가 우리의 눈앞에 와 있는 오늘 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부터 만나이 도입] 어려지는 것 말고 달라지는 점? 계산법? (0) | 2023.05.15 |
---|---|
6월에 열리는 주요 축제 (0) | 2023.05.11 |
서울시민이라면? 매달 10일 무료로 음료수 마시자! (1) | 2023.05.09 |
미국 디폴트 선언 임박? 디폴트가 뭔데요? (0) | 2023.05.08 |
봄, 여름철 E형 간염 주의보 (0) | 2023.05.01 |